
- 제목
- 수근관 증후군이란? (1)
- 등록일
- 2018.02.05
- 조회수
- 4104
- 카테고리
- 성형외과/수부외과
수근관 증후군이란? (1)
광명성애병원 성형외과 과장 노시영
필자 : 안녕하세요.어떻게 오셨어요?
A ; 저는 학교에서 급식을 하는 일을 약 5년 전부터 일을 하고 있는데요, 1개월 전부터 손가락이 저려서 잠을 못 자고, 힘이 빠져서 물건을 들지 못 하겠네요. 운전 중에 더 심해지고, 특히 밤에 심해지는데 손을 주무거나 털고 나면 증상이 좋아져요. 엄지에 근육도 힘이 빠져서 옷 단추 끼우기도 힘들고, 손에 쥐는 힘이 떨어져서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고, 젓가락질, 병따개 돌리기도 힘들어요. 이게 심해지니 발꿈치나 어깨, 목도 아프네요. 제가 당뇨나 혈압은 없는데, 혈액 순환에 이상이 있는지 알고 싶어서요.
필자 : 어느 손가락이 저리신가요?
A ; 엄지손가락, 둘째, 셋째 그리고 넷째 손가락의 반이 저려요.
필자 : 손목은 우리 신체 구조 중에 가장 운동범위가 넓은 곳 중에 하나이고,손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의 힘줄(건), 손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신경과 손의 혈액 공급에 필요한 혈관 등이 팔에서 손목을 통해 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손목부위에서 손바닥의 중심 부위에 뭉쳐서 지나가게 되는데,손바닥 쪽에서 이들을 덮어 주는 것을 가로 손목인대(수평 손목 인대,수근관 인대, 횡수근 인대)라고 하는데,이 부분이 가장 좁아 구조물들이 손목에서 밀집되게 됩니다. 수근굴(수근과)증후군은 수근굴(수근관)내에 압력이 증가하여 이 굴을 지나가는 구조물 중 하나인 정중신경(엄지손가락, 둘째, 셋째 그리고 넷째 손가락의 반의 감각 담당)이 압력을 받아서 증상이 나오는 것입니다.
A ; 일을 할 때, 손목을 젖히고 굽히는 동작이 많은데, 혹시 그래서 더 심해지지 않나요?
필자 ;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젖히면 공간이 적어지게 되며, 가로 손목인대가 두꺼워지고,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많이 구부리면 손바닥에 있던 굴곡건, 신경들이 손목쪽으로 밀려가 수근관 내의 내용물의 부피 증가하여 신경이 더 눌리게 되지요.
A ; 가족 중에 오빠들은 없는데, 이제 50넘은 언니도 저와 같은 증상이 있어서 물어 봤어요.
필자 ; 수근골 증후군은 1000명당 1-2명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 주로 30세 이상의 성인 연령층에서 나타나며 남성보다는 여성,특히 중년기 여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A ; 손을 다친 적인 없는데 증상이 생기나요? 전 당뇨도 혈압도 없는데요?
필자 : 보통 특별한 선행 질환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손목 골절 후 부정 유합이나 관절염, 수근관 내에 생긴 종양(주로 결절종 등)또는 전신적인 원인, 특히 당뇨병이나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대부분 환자에서 정확한 원인을 모르면 과도한 반복적인 손의 사용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당뇨병 자체가 신경을 침범하므로 손목 주위의 약간의 붓기만 있어도 손 저림이 더 흔하게, 심하게 나타납니다. 임산부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출산 후 호전되기도 합니다.
A ; 얼마 전부터 엄지손가락 쪽 근육이 줄었어요. 이것도 관계가 있나요?
필자 : 많이 진행된 경우, 엄지두덩이(무지구)근육이 위축되어 납작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A ;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필자 : 손목을 1분 정도 굽힌 상태를 유지 하는 손목 굴곡 검사,정중 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를 톡톡 두드릴 때 손가락에 저리는 느낌(신경 타진 검사)이 오면 수근굴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중 신경이 지나가는 손바닥 쪽 손목의 전방부위를 손가락으로 깊게 눌러 보았을 때, 정중 신경 분포 영역에 이상 감각이나 통증(정중 신경 압박검사)이 나오기 합니다. 그 밖에 2점 식별검사, 엄지 손가락 대립검사, 지혈대 검사 등이 있습니다.
A ; 다른 검사들로 알 수는 없나요?
필자 ; 아까 말씀 드린 검사들로만 다른 증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근전도 검사도 동시에 시행합니다.이 검사를 위해서 입원할 필요는 없고요. 신경과 근육의 상태를 진단하는 검사로서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 유발 전위 검사 등이 있으며 신경에 병이 있는지, 병변이 어느 부위에 있는지, 어느 정도 심한지, 진행여부, 회복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입니다. 인위적으로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게 되는데, 침 전극으로 경미한 통증으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나, 부작용이나 후유증은 없고, 약 30분에서 1시간 걸립니다. 신경이 눌리는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거나, 경미하거나, 초기에는 이상이 없는 경우도 있어요.
- 이전글
- 심근경색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다음글
- 수근관 증후군이란? (2)